바른정당과의 통합과 관련,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전당원 투표를 제안하면서 당내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다. 안 대표 측은 오는 31일 전 당원 투표 결과 발표를 목표로 통합을 위한 드라이브를 거는데 반해 반대파는 집단 대응에 나설 태세다.
특히 안 대표의 이날 발표로 야권발 정계개편이 본격화하면서 내년 전북지역 6·13 지방선거 구도도 급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당원 투표 일정과 전망= 안 대표 측은 지난 8·27 전당대회 때처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케이보팅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투표와 ARS 투표 방식으로 전당원 투표를 시행할 예정이다.
전당원 투표 안건이 당무위원회를 무사히 통과할 경우 오는 27~28일 케이보팅 온라인투표, 29~30일 ARS 투표를 거쳐 31일 최종 투표 결과를 발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안 대표는 이를 위해 21일 당무위를 소집해 전당원 투표와 중앙당선거관리위원회 설치·구성, 선거관리 위탁 등의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당무위는 100명 안팎의 위원들로 구성돼 있으며, 전당원 투표 안건은 재적 위원 과반 출석에 과반의 찬성으로 통과된다.
전당원 투표 안건이 당무위에서 의결되면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대한 가부는 실제 투표에서 과반 투표에 과반의 찬성으로 확정된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호남 의원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전당원 투표를 실시할 경우 통합 찬성 의견이 우세하게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전북과 광주·전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통합에 찬성하는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서다.
그러나 실제 통합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실제 통합이 선포되더라도 호남 의원들이 당을 떠나지 않고 오히려 통합을 추진하는 측이 당을 떠나라며 버티기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서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전당원 투표에서는 통합 찬성이 나올 수 있지만 실제 통합 과정에서 호남 의원들과 더 큰 갈등이 빚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호남 의원들 집단 반발= 안 대표의 전당원 투표 제안 직후 호남 의원들은 집단 반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통합 로드맵’ 추진 저지를 위한 집단 대응에 나설 태세다. 우선 반대파 의원들은 안 대표의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에 이어 오는 21일 예정된 당무위원회 저지에 나설 예정이다.
정동영 의원은 이날 오후에 열린 의원총회 도중 기자들과 만나 “전당원 투표 무효화운동, 저지운동 등을 펼칠 것”이라며 “법률가 자문을 거쳐서 합당을 밀어붙이기 위한 전당원 투표의 불법성을 검토한 뒤 당원투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등을 통해 국민의당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반대 의원들의 안 대표를 향한 비판 목소리도 쏟아졌다.
박지원 의원은 자신의 SNS에 “한마디로 당원과 당 소속 의원들에게 전쟁을 선포한 것”이라며 “바른정당과 통합 여부를 자신의 재신임과 연계해 전당원 투표를 하자는 것은 당헌·당규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천정배 전 대표도 보도자료를 내고 “보수 적폐의 빅텐트로 투항하는 것이 미래로 가는 길이냐”며 “공작적 정치를 그만두고 나라를 살리는 길을 선택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북 지선 격랑속으로= 안 대표의 통합을 위한 전당원 투표 제안을 계기로 내년 6월 전북 지방선거가 격랑속으로 빠져들 것으로 보인다.
일단 통합이 완료될 경우 전북 선거구도는 더불어민주당과 통합신당, 반대파 의원들이 향후 구성할 신당 또는 무소속 연대간 3자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합이 무산되면 종전처럼 민주당대 국민의당의 대결구도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통합이 성공하거나 실패해도 이에 따른 데미지는 야권이 고스란히 입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정치권은 통합이 성공하면 야권의 힘이 분산돼 지지율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민주당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통합이 불발되더라도 중앙정치권이 통합 문제로 많은 시간을 허비하면서 지방선거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해 결국 선거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는 힘들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결국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입지자들만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통합 찬성 의견이 나오더라도 실제 통합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지방선거 준비에 차질이 불가피하고, 입지자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일 것”이라며 “지선 입지자들을 위해서라도 통합 문제가 조속한 시일 내에 마무리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