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를 하다 보면 온그린을 하지 못해 어프로치를 해야 하는 경우는 매우 흔한 일이다. 어프로치 해서 쉽게 파를 잡으려면 띄우는 어프로치보다는 굴리는 칩샷이 효과적이다.
칩샷은 퍼팅과 같이 굴리는 샷이기에 쉽게 거리감을 잡을 수 있다. 다만 칩샷을 할 때는 볼이 굴러가는 라이가 좋아야 하며, 볼과 홀 컵 사이에 장애물이 없어야 가능하다.
만약 볼과 홀컵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볼을 띄우는 어프로치는 당연한 것이다. 특히 10m 안쪽의 짧은 거리에서 띄우는 어프로치는 매우 까다롭고 어렵다.
짧은 거리의 띄우는 어프로치는 꼭 생각해야 할 것이 있는데, 이는 클럽 페이스의 상태를 끝까지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볼을 띄우기 위해서 클럽을 열어놓고 셋 업을 했더라도 임팩트 순간에 클럽 페이스가 닫히면 볼을 띄우는 것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볼의 위치는 지형이나 경사면에 따라서 달라질 수는 있으나, 클럽의 페이스는 임팩트 이후에도 어드레스 때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열려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클럽의 페이스를 임팩트 이후에도 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손목이 돌아가는 동작을 해서는 안된다.
손바닥이 목표를 향해서 클럽 페이스가 돌아가지 않게 해야 하며, 이를 자연스럽게 만들기 위해 왼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접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어프로치 피니쉬에서 자연스러운 왼팔의 움직임과 클럽 페이스를 열어주기 위한 손목을 안 쓰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주기 위한 오픈 스텐스는 당연히 해야 된다.
여러 가지 골프 스윙 중 약간의 변형이 필요한 동작은 항상 이유가 있는 동작이다. 연관된 동작을 잘 만들어내기 위한 협응 동작은 변형된 스윙이 잘 되도록 도움을 주는 동작이 되는 것이다. 짧은 어프로치에서 클럽 페이스가 열려야 볼이 높게 떠오르기 때문에 오픈 스탠스는 클럽 페이스가 임팩트 순간에 손목을 쓰지 않고도 원활히 움직이게 하는 협응 동작임을 알고 연습하면 좋다.
써미트 골프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