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조직위는 28일 “내년 1월 1일부터 동계올림픽 폐막일인 2월 25일까지 대회 참가자와 관중, 국가·기관·단체 등을 대상으로 ‘탄소상쇄기금’을 모금한다”고 밝혔다.
탄소상쇄기금 모금은 대회 준비와 운영 기간 예상되는 총 온실가스 159만 6000톤 가운데 선수와 관중 등의 이동·숙박 부문에서 50만톤(전체 예상배출량의 31.3%)이 발생할 것으로 보여 추진하게 됐다.
기금 모금은 전용 웹페이지(www .pyeongchang2018-carbon fund.com)를 통한 사전 모금과 현장 모금을 병행한다.
기금 모금 프로그램 개발에는 조직위,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 3개 기관이 참여했다.
모금액은 개인별 교통수단, 이동 거리와 전기, 수도, 난방 등 숙박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근거해 산정, 최근 3개월 유럽 탄소배출권 거래금액 평균 가격(톤당 7.6유로(약 1만 원))을 적용했다.
온라인 사전모금은 국가·기관·단체를 대상으로 내년 1월 1~21까지 전용 웹페이지에서 주요 5개 통화(달러, 유로, 위안, 엔, 원)로 계좌 송금이 가능하다.
현장 모금은 개인 또는 국가·기관·단체를 대상으로 2018년 1월 23일부터 2월 25일까지 강릉 올림픽파크 환경홍보관 내 모금 부스에서 참여할 수 있다.
기금은 전액 탄소배출권을 구매해 평창올림픽 탄소상쇄에 활용된다. 모금활동이끝나면 모금액과 탄소배출권 구매량을 공개할 예정이다.
여형구 조직위 사무총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도 탄소배출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라며 “평창대회가 저탄소 올림픽으로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탄소상쇄기금 모금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길 부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