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바른, 내달 신설합당 완료

통합추진협 첫회의서 합의 / 반대파 "전대 무산시켜야" 강경론속 저지책 없어 고심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2월 내 통합을 완료키로 했다. 지방선거를 앞둔 2월 설 명절 밥상에 양당의 통합 문제를 올려 주도권을 끌어오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당 통합 반대파가 통합 저지를 위한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어 주목된다.

 

국민의당 이언주·이태규 의원과 바른정당 오신환 원내대표, 정운천 의원은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통합추진협의체(통추협) 출범식을 겸한 첫 회의를 열고 2월 내에 신설합당 방식으로 통합을 완료하는 데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낡은 정치를 청산하고 새로운 개혁정당의 탄생을 염원하는 국민의 준엄한 뜻을 받들고, 구시대 전유물인 지역주의를 극복하고 합리적 개혁세력의 통합을 도모할 것”에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양당의 단순한 합당이 아닌 ‘신설 합당’ 방식을 취하기로 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치변화와 개혁을 열망하는 3세력의 대통합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신설합당은 새로운 당을 만든 뒤 이 신당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사실상 흡수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 의원들의 당적도 그대로 승계되는 데다 절차가 간소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뿐만 아니라 통합에 반대하는 국민의당 비례대표의 이탈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양당 관계자들은 “(신설 합당이) 영입인사 등 새로운 인물이 신당 창당과 동시에 합류하기에도 알맞은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통추협은 4일부터 매일 비공식 협의를 갖기로 했으며, 필요할 경우 협의 내용을 언론을 통해 공개하기로 했다.

 

양당 통합을 위한 준비과정이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반대파는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반대파 의원들은 매일 회의를 열고 합당 안건이 상정될 전당대회를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 의사진행방해)로 무산시켜야 한다는 강경론을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통합을 저지해 낼만한 카드가 없다는 점에서 고민이 커지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통합 신당으로 가지 않을 의원들이 참여하는 신당추진위원회를 꾸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반대파가 통합을 저지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고 뾰족한 대안도 없는 상태여서 많이 답답한 상황인 것 같다”며 “양당 통합으로 지방선거 준비가 늦어져 입지자들의 고충도 갈수록 심해져 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