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이 이번 주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를 출범시키는 등 통합 추진에 속도를 낸다. 하지만 전준위 구성을 둘러싼 반대파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전당대회 정족수를 채우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는 등 막바지 통합 작업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통합 찬성파는 이번 주 안으로 전준위를 공식 출범시켜, 전당대회 시기와 시행세칙을 조속히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전준위원 인적 구성을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9∼10일쯤 당무위원회 회의를 개최해 전준위 출범 절차를 마무리 짓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통합파는 이번 달 마지막 주 일요일인 오는 28일께를 전대 목표일로 잡고 있으며, 이때를 전후로 바른정당과 함께 ‘창당준비위원회’(창준위)를 띄우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양당 사이에는 통합 초기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내달 9일 시작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이전에 합당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그러나 전대 총력저지에 나선 반통합파의 반발과 저항이 워낙 거세 전준위 구성부터 합당 안건 통과에 이르는 단계마다 줄줄이 난항이 예상된다. 먼저 반대파 모임인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는 객관적인 전준위 구성을 위해 자신들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찬성 측에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통합파 진영에서는 친 안철수계 인사이자 통합 국면에서 다양한 역할을 해 온 김중로 의원을 전준위원장으로 거론하는 등 이미 전준위 구성에 착수한 상태다. 이 때문에 전준위에 안 대표 측 인사가 다수 포진될 경우 편파 논란이 불거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대 정족수를 채울 수 있을지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중앙선관위가 최근 전대에서 ‘케이보팅’(K-voting)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리면서 그간 전자투표 방식으로 통합 전대를 추진하려던 안 대표 진영은 전대 정족수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찬성 측은 권역별 전당대회 개최 등 차선 책을 논의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반대파의 각종 절차적인 문제 제기를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반대파는 현재 전대를 무산시킨다는 의지를 거듭 천명하면서 세 규합을 위한 여론전에 총력을 쏟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