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의 비밀한 나눔과 착취를 거친 便(변)은 어떤지
외출하는 변은 서로 같은데
하나는 무형이고 하나는 유형이네
체면을 위한 가식의 그림자 속에
냄새나는 辨(변)과 便(변)은
서로가 너무 가여웠다
삶이 계속되는 한 인생의 구역질을 맑은 하늘에 쏟으며
흙으로 돌아갈 여생의 평화를 기원한다
저 便(변)의 근원은 입구의 辯(변)을 우러러보다
가끔 저주를 퍼부어대며 진한 향기를 바친다
△살아있는 것들의 토사물 중에서 이로운 것은 꿀밖에 없다는 말을 문단 말석에 앉아 들은 적 있다. 그때는 그 말이 이해가 가지 않았다.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아름다운 화음과 칭찬의 말도 이로운 것인데 왜 꿀밖에 없다고 하시는 걸까?
시간 좀 지나니 얼핏 이해가 간다. 아름다운 화음도 누군가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고, 칭찬의 말도 상대적인 것이어서 마냥 이롭지만은 않은 듯하다. 설마 꿀이라고 다 이롭기만 할까? 오늘 하루라도 辯(변)을 토하지 말아야겠다. 모처럼 하늘이 맑지 않은가? <김제 김영 시인>김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