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이 뜬다

해킹 차단·공인인증서 대체 수단으로 각광 / 유통·금융·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추세

최근 정부가 규제 작업에 착수한 가상화폐의 원천기술인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가상화폐 규제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각 분야의 혁신을 꾀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보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지금까지의 상식을 모두 뒤엎으며 전 세계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미래 유망 기술로 떠오르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추세다.

 

블록체인은 ‘블록’이라는 데이터 단위를 일정 시간마다 ‘사슬’처럼 연결한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다.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를 기록하는 디지털 분산원장을 의미한다. 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은 수많은 사적 거래 정보를 개별적 데이터 블록으로 만들고, 이를 체인처럼 차례차례 연결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정보를 암호 방식에서 차용한 수학적 알고리즘 기법을 사용해 안전하고 검증 가능한 형태로 기록할 수도 있다.

 

전북이 블록체인을 스마트 시티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점도 이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 때문이다. 유통망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이력을 추적함으로써 식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예술품 위·변조를 확인하는 데도 블록체인기술이 쓰일 수 있다.

 

전북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인 한국전기안전공사의 경우 SK텔레콤 등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전기화재 발화지점 분석 시스템을 구축했다.

 

해외에서는 미국 월마트가 물류 관리 서비스, 필란드는 난민 지원을 위한 신원 인증 서비스, 에스토니아는 블록체인 기반 전자 투표 등 블록체인을 활용한 새로운 사례들이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블록체인은 ‘알고리즘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가상화폐만이 아니라 투표와 같은 사회시스템 등에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의 혁신적 기대 효과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금융 외에 다른 산업이나 정부, 공공서비스 등으로의 확산 시도가 저조한 상황이다.

 

과학기술부 관계자는“블록체인이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혁명으로 불리는 이유는 전통적인 시스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