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이 올해부터 주요 정책 수립단계에서 교육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논의하는 ‘참여형 정책숙의제’를 도입한다. 김승환 전북교육감은 12일 전북교육청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참여형 정책숙의제 운영 계획을 밝혔다.
김 교육감은 “새로운 정책을 추진하기에 앞서 교사, 학생, 학부모들이 정책을 논의하고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라며 “첫 번째 정책숙의제 대상은 자유학기제 차원의 교육과정인 ‘허클베리핀 프로젝트’(가칭)인데, 이 정책 이름과 방향도 숙의과정을 거쳐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프로젝트는 형식적인 진로 체험에서 탈피해 계획·실행·분석·평가 등 모든 과정을 학생 스스로 만들어 실행하도록 지원하는 자기주도적 체험학습”이라며 “시행 여부와 함께 지원 대상, 규모, 적용 시기 등을 모두 참여형 정책숙의를 통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북교육청은 다음 달부터 6월까지 의견 수렴과 토론 등을 거쳐 해당 프로젝트의 시행 여부가 결정되면, 7월 중 정책안이 마련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육감은 “최근 정부의 교육정책이 연기·번복되면서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 신뢰가 크게 떨어졌다. 또, 하향식 정책 수립과 운영에 대한 한계도 노출됐다”면서 “참여형 정책숙의제를 통해 정책 실행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김 교육감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미래공방교육 중장기(2018~2022) 발전계획도 발표했다.
김 교육감은 “우리 학생들이 다양한 창작 경험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키우는 맞춤형 교육이 될 것”이라며 “올해부터 학교나 독립된 별도의 장소에 실험, 제작, 창작 등을 할 수 있는 미래창작공방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지방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기에 대해 김 교육감은 “행정공백 최소화와 당선을 위한 최적의 기간 등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