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사업 지역업체 우대기준 효과 현실로

남북2축도로 1공구 지분 30%·2공구 26%~51% 성과 / 건설업계,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30%이상 참여 촉구

최근 새만금 남북 2축도로 1·2공구의 공동수급협정서 제출을 마감한 결과 지역업체의 지분 참여율이 1공구는 30%, 2공구는 26%~51%로 나타나 ‘새만금사업 지역업체 우대기준’의 효과가 현실화 된 것으로 나타나 이달 중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하는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에도 지역업체 참여 확대를 위한 발주처의 의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한건설협회 전북도회(회장 정대영)는 그동안 새만금사업의 지역업체 참여율이 5~15%정도에 그친 것에 비해 ‘새만금사업 지역업체 우대기준’이 적용된 새만금 남북 2축도로 공사에 도내 업체가 최대 51% 참여하게 된 것은 지역업체 우대기준을 마련해 지역업체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한 새만금개발청 등의 노력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정대영 회장은 “한국도로공사에서 기술형입찰로 추진 중인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6·8공구)에도 필히 지역업체가 30%이상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무엇보다 발주처인 한국도로공사의 의지가 중요함으로 지역기업 우대기준 적용과 함께 대기업 설득에 적극적으로 노력해줄 것”을 촉구했다.

 

이번 달 안에 발주예정인 새만금∼전주 고속도로는 총 8개 공구에 연장 55.09km의 왕복 4차선으로 총사업비는 1조9241억원이며, 이중 6공구(사업비 2606억원 3.83km)와 8공구(2487억원, 3.83km)는 기술형입찰(실시설계 기술제안방식)로 발주될 예정이다.

 

그동안 도내 건설업계와 전북도, 정치권, 지역언론 등은 새만금~전주고속도로(6·8공구)에도 지역업체 우대기준 적용을 줄기차게 건의한 바 있으며 한국도로공사에서도 지역업체 우대방안을 자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번 새만금 남북2축도로 지역업체 참여율이 최대 51%인 점을 고려할 때 한국도로공사가 특단의 조치를 마련해 새만금~전주고속도로에 최소한 30%이상 지역업체가 참여해 지역건설 활성화의 전기가 마련되길 기대하고 있다.

 

지역건설 업계에서는 이번 남북2축도로 컨소시엄이 지역건설 활성화의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되었다며, 앞으로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 컨소시엄에 지역업체 참여율이 한국도로공사의 지역건설 활성화 의지의 가늠자가 될 것이라며 큰 기대감을 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