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협력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업체들에 대한 금융지원이 가장 시급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24일 개최된 이낙연 국무총리와의 간담회 지리에서 1·2차 협력업체 대표들은 한결같이 기대출금의 만기연장과 상환유예를 호소했다.
이들은 이미 생산물량이 감축되기 시작한 5년 전부터 금융자금을 대출받아 공장을 운영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군산공장 폐쇄 결정이 발표되자 시중은행들은 기업을 돕기 위한 금융지원은 커녕 오히려 기대출금 상환을 독촉, 협력업체들은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실제, 한 시중은행은 설 연휴 다음날 군산공장 협력업체에 전화를 걸어와 한국지엠 관련 업종여부와 경영에 차지하는 비중을 파악한 뒤 애초 상환 계획대로 기대출금 상환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력업체 대표 A씨는 “금융권은 협력업체에 대한 신규 대출을 꺼리고 기존대출금의 상환만 독촉하고 있다”며 “당장 다음달 도래하는 상환자금부터 해결돼야 하지만 금융권의 자금지원이 없으면 3월을 버티지 못할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협력업체들은 오는 5월까지 어떻게든 공장 가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료와 세금 및 인건비 등 고정비용 지출을 위한 추가 대출이 절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신용보증기금 등 보증 보험사들은 협력업체의 부도 위험이 크다는 이유로 신용보증을 꺼려 추가 대출도 꽉 막힌 상태다.
또 다른 협력업체 대표 B씨는 “은행 거래가 끊겨 전기세, 부가세, 국세 등 세금도 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협력업체들은 자금 압박으로 현 상황을 버텨내기 힘들다”고 호소했다.
이처럼 최악의 경영위기에 처한 협력업체의 줄도산을 막기 위해 정부와 금융당국의 신속하고도 실질적인 금융지원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한국은행은 한국지엠 군산공장 협력업체 가운데 자금지원 대상에 해당하는 업체를 파악, 시중은행을 통해 저금리 신규대출을 지원하는 ‘중소기업지원자금’ 제도를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