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책정 식재료 단가 실제물가보다 턱없이 낮다"

전주 급식 납품업체 “소매가 못미쳐 손해 커”
전북교육청 “aT서 공시가격 일괄지정” 제안

전주지역 초·중·고교에 급식용 식재료를 납품하는 업체들이 납품 단가 현실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전주지역 전체 급식 식재료 납품업체로 구성된 ‘전주 학교급식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는 27일 “학교 측이 현재 물가 수준에 맞지 않는 식재료 기초가격을 제시하면서, 납품업체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기초가격은 해당 학교의 영양교사 등이 책정한 식재료 단가를 이른다.

지난해 12월 전주지역 한 학교는 급식용 식재료의 기초가격을 2906만여 원으로 책정해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eaT)에 입찰 공고를 냈다.

하지만 이 학교에 해당 식재료를 납품한 업체가 시장조사한 식재료 소매가격은 3800만 원이다. 학교측에서 제시한 기초가격이 실제 소매가격보다 턱없이 낮아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게 해당 업체의 주장이다.

식재료 납품업체들은 전주지역 상당수 학교에서 소매가에 미치지 못하는 기초가를 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게다가 학교 측이 제시한 기초가격의 90% 선에서 업체와 계약이 이뤄지는만큼 납품업체의 손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게 전주 학교급식 정상화 비대위의 설명이다.

김석훈 전주 학교급식 정상화 비대위원장은 “이런 불합리한 식재료 단가 산정으로 최근 전주지역 최대 급식 식재료 납품업체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해 문을 닫았다”며 “학교 측의 식재료 단가가 현실화되지 않을 경우 납품업체들의 줄도산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최저임금 인상과 현실과 맞지 않는 식재료 단가 책정으로 납품업체의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면서 “학교에서 식재료 가격에 대한 시장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북교육청은 납품업체와 학교 간 식재료 단가에서 큰 차이가 나는 점을 들어 eaT를 운영하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식재료 기준가를 정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식재료의 실제 단가를 놓고 학교 영양교사와 납품업체 간의 입장차가 매우 크다”면서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급식용 식재료의 공시가격을 일괄 지정하면 이런 논란이 불거지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