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성매매 집결지인 ‘선미촌’의 기능전환을 위한 문화재생사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사업시행이후 4년 동안 성매매 업소는 여전히 남아있고, 관련 사업들도 걸음마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선미촌 재생사업은 점진적인 사업시행으로 성매매 업소들의 자발적 영업 중단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이지만 사업이 더딘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한 박차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전주시는 지난 28일 “선미촌 기능전환 위해 최대 면적의 성매매업소 매입해 업사이클링센터가 조성중이며, 이를 통해 문화예술 거점공간 확보해 예술인들이 거주하며 창작활동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는 선미촌의 기능전환을 통해 이선미촌 일대에 ‘아트빌리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선미촌 내 권삼득로 구간을 특화거리로 바꾸기 위해 기반시설 공사와 통신선로 지중화, 가로수식재 사업 등도 추진된다.
선미촌 기능전환사업은 지난 2015년부터 진행돼 왔고 시는 이를 위해 선미촌 내 5곳의 부지와 건물을 매입하는데만 24억원이 넘는 예산을 들였다.
시는 이 5곳의 건물에 각종 문화 콘텐츠를 채워 넣기 위해 총괄기획자를 선임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용역을 올해 하반기에 발주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사업시행 4년 현재 성매매업소는 49곳에서 22~23곳 정도로 절반이상 줄어들긴 했지만 더 이상 줄지 않고 있고, 문화사업도 초기에만 1~2차례 이뤄졌을 뿐 뚜렷한 사업성과를 내지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선미촌 재생사업은 점진적인 자체 퇴출방식으로 타 지역에서도 벤치마킹을 하고 있다”이라며 “5월까지 주민의견과 심의, 자문 등을 거쳐 서노송예술촌 프로젝트 기본 실시설계용역을 완료되면 사업이 본격화 될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