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에 보면 화백회의 참여자 모두를 왕으로 일컬었는데 화백 6명을 모두 왕이라고 했으니 마땅히 대왕이 있어야 했다.
화백회의 주최자인 대왕을 마마라고 할 때의 존칭인 마가 붙어서 마립간 곧 매금이 된 것이다. 매금은 마+임금이다.
대왕-매금(임금 중의 임금)처럼 왕과 대왕을 구분하기 위해 임금이 아닌 매금(마립간)이 쓰였다. 그런데 여기서 ‘금’은 잇다, 이어가다, 연결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리말 금은 선이고 선은 잇는 것이다. 임금의 금과 신라왕 김 씨의 금이 같은 점이 중요하다. 황금 씨족을 자처하는 황금이란 우수한 혈통을 의미한다.
박혁거세는 알에서 나왔는데 알이 금이니 금에서 나왔다. 왕=황금=알=금이라는 전통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임금은 금님일 수 있다. 임금은 님+금, 잇는 금(繼君)으로 보는 사람(양주동)도 있다.
우리말로 쓰이는 임금의 ‘금’도 여기에 속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끝의 ‘님’은 존칭 접미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