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교육계에 따르면 부산 동래구 A초등학교는 지난해까지 1~2학년 방과 후 영어교실을 운영했지만 올해는 ‘키즈 스피치’와 ‘세계문화체험’, ‘마림바·드럼 연주’등의 수업을 마련했다.
키즈스피치는 다른 친구들에게 질문하기, 논리적으로 자신의 생각 말하기 등을 연습하는 시간인데 조리 있게 생각을 풀어내는 능력을 어릴 때부터 길러주고자 하는학부모들이 많은 만큼 인기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원어민 영어교실을 운영했던 서울 도봉구 B초등학교도 올해는 영재과학실험 시간을 만들었다. 초등학생들은 실생활과 연관된 실험에 흥미를 크게 느낀다는 점을 고려했다. 이 학교는 또, 마술교실과 클레이아트, 손 글씨를 예쁘게 꾸며서 쓰는 캘리그라피 등 예술 분야와 관련된 활동을 늘렸다.
대전 대덕구 C초등학교는 통기타·우쿨렐레 등 악기를 배워보는 시간과 로봇에 대해 공부하는 창의로봇 시간을 신설했다.
교육부 방과후돌봄정책과 관계자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 발달단계나 흥미를고려한 활동이 늘고 있다”며 “요즘 학부모들의 수요에 맞춰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예술 프로그램이나 과학실험 시간이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