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오후 전주 우진문화공간 예술극장엔 긴장감이 맴돌았다. 굳게 문이 닫힌 극장 안에는 전북연극협회 회원 75명이 모여 있었다. (사)한국연극협회 전북지회가 최근 연이어 터진 ‘미투’ 성폭력 고발과 관련해 전 회원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한 긴급 임시총회였다.
5시간 동안 성토·공분·사과가 이어졌다. 그 누구도 자리를 벗어나지 않았다. 이따금 감정을 주체 못한 회원을 진정시키기 위해 물을 뜨러 나왔을 뿐이었다.
△ ‘진상위’…풍문까지 조사·2차 피해 방지
‘미투 운동’이 불거진 후 처음으로 도내 연극인들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주된 화두는 미투 운동에 대한 ‘진상조사’와 ‘2차 피해 방지’였다.
전북지회는 이를 위해 여성 연극인 8명으로 구성된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리기로 결정했다. 언론을 통한 무차별적인 폭로보다는 스스로 통로를 만들어서 피해자가 대중에게 노출되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자는 취지다.
진상조사위원회는 전북연극협회와 연계하지만 독립된 기구로, 전북연극협회 간부 및 이사진을 제외하고 추천된 연극인들로 구성했다.
현재 극단 명태·극단 황토·문화영토 판 등 전북 극단 3곳에서 성폭력 가해자가 드러난 상황.
진상조사위는 우선 공개된 피해 사례를 조사하고, 소문·풍문 등도 조사해 또 다른 피해자나 가해자가 있는지 밝혀낼 계획이다. 가해자가 몸담았던 극단에서는 내부 단원들의 성폭력 관련 여부를 가려내 사건과 관련 없이 소속 극단을 잃은 단원에 대한 구제 방안도 논의한다.
△불합리한 환경 개혁
이날 성폭력뿐만 아니라 일방적인 폭행·임금 미지급 등 연극 활동 중 일어나는 불합리한 관행도 잇따라 폭로됐다. 대부분 젊은 회원들이었다.
총회에서는 ‘이번 미투는 개인의 그릇된 성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전북연극계의 불합리한 구조·관행에서 발생한 만행 중 하나’라는 의견이 모아졌다.
도내 연극 환경을 바꿀 안건들이 다양하게 논의됐다. 그 중 통과된 의견은 공연계약서의 사전 작성 의무화, 영구 제명된 가해자들과의 협업 금지, 협회 집행부와의 원만한 소통을 위한 청년위원회 구성, 해체된 극단의 단원 구제 방안 마련, 피해 사례 수집통로 확보, 극단과 회원 간 교류 활성화 등이다.
△연극인 자성 결의…원로는 없어
이날 젊은 연극인들이 다수 참여해 자성하고 의견을 낸 반면, 원로급 연극인들은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일련의 사태가 과거부터 답습된 잘못된 관행에서 일부 비롯됐다는 점에서 선배 연극인들도 책임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는 비판도 나왔다.
특히 극단 ‘황토’는 현재 드러난 가해자 1명이 현재까지 몸담고 있고 가해자 2명은 과거 입단해 현재의 활동 토대를 만들었던 극단인 만큼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러나 이날까지 어떠한 입장도 밝히지 않아 총회 참석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 하지만 이날 단원들은 참석하지 않았고, 대신 10일 극단 해체를 선언했다.
총회에 참석했던 원로급 연극인은 “30여 년 활동을 하면서 제대로 된 역할을 했나 자성했다”며 “긴 시간이 흐르는 동안 사태가 이만큼 치닫게 된 데에는 악습을 개선하지 못한 원로들에게도 일정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