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민 절반 가량이 사회안전과 미세먼지, 주차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이는 지난 16일 전라북도가 발표한 ‘2017 전라북도 사회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2017년 전라북도 사회조사는 지난해 8월 18일부터 8월 31일까지 도내 14개 시·군의 1만3400가구(만 15세 이상 가구원)를 대상으로 조사원 면접 및 응답자 기입방식으로 진행됐다.
우선 도내 사회안전이 불안하다고 인식하는 도민은 30.8%로 집계됐다. 불안 이유로는 범죄위험이 47.3%로 가장 높게 나왔는데, ‘외출한 자녀의 범죄피해에 대한 부모의 두려움’(30.8%)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전북도는 “전북은 전국대비 범죄율이 2.9%로 상당히 낮은 데 비해 범죄위험에 대한 불안감이 높게 나왔다”며 “아동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하고 순찰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세먼지 문제에 대해서는 도민 중 47.6%가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했다. 피해유형으로는 호흡기 질환이 3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안구건조증 8.9%, 피부질환 2.6%순이었다.
연간 미세먼지(PM10) 농도의 증가가 도내 미세먼지 피해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전북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51㎍(마이크로그램)/㎥으로 법적 기준인 연간 평균치 50㎍/㎥을 초과했다.
특히 도시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눈에 띄게 높았다. 전주시의 연간 미세먼지 농도는 54㎍/㎥였으며, 익산시는 55㎍/㎥, 정읍시는 54㎍/㎥였다.
도는 “전주시와 익산시, 정읍시 미세먼지 농도가 전북 평균을 상회하는 원인을 파악한 뒤 도시 대기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게 필요하다”며“이와 함께 도민이 미세먼지로부터 스스로 대처할 수 있도록 알림서비스를 확대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차문제에 대해서는 공영주차장 부족이 41.7%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주차장 절대 부족 33.2%, 노상 불법주차 20.3% 순이었다. 특히 30대 연령에서는 주차장 절대부족(40.6%)이 공영주차장 부족(38%)보다 높았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건축시 필요한 주차면수 확보 의무(22.7%), 노상주차장 불허(12.6%), 우료 민간주차장 보조(5.7%), 주차는 반드시 비용지불 한다는 의식 전환 (2.7%)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