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구도심 살릴 특화사업 추진해야"

한명숙 의원, 임시회 5분 발언 “공동화 극심·역사 붕괴 우려”

남원 구도심의 공동화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구도심 주민 이탈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역 문화와 역사의 특성이 붕괴되고 지역뿌리가 흔들릴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남원시의회 한명숙 의원은 21일 제22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도시가 성장하면서 도심이 점차 외곽으로 확대돼 구도심이 쇠퇴하고 공동화 현상이 빚어지면서 많은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도통동 신시가지 개발 및 남원시청과 남원역 이전 등으로 이미 구도심 인구는 급격하게 감소했으며, 향후 세무서와 법원, 검찰청이 이전되면 구도심의 인구감소와 빈 점포 문제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며 “실제 2015년 건축물 대장 기준으로 구도심 지역 3945동의 건축물 중 2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이 77%를 넘어서는 등 구도심 상권의 공실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도시의 외연확장에 따른 구도심 쇠퇴는 자연스런 현상으로 비춰질지 모르지만 속내를 보면 자생적인 지역 문화와 역사, 특성이 붕괴되고 지역뿌리가 흔들릴 수 있어 구도심 쇠퇴는 그리 간단히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게 한 의원의 설명이다.

 

한 의원은 “대구광역시 중구는 지난 2007년부터 공공디자인을 통해 근대 골목과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등을 조성하는 골목의 재발견을 통해 낙후된 도심을 전국에서 찾는 관광명소로 만들었다”며 “단순 물리적인 재정비와 행정 중심의 개발이 아닌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살리고, 주민들의 애정과 관심이 더해졌기에 사업이 성공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남원 역시 도시 자생력을 키우고 지역 구도심이 갖고 있는 광한루원, 예촌, 요천 등의 역사적·문화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우리 지역에 맞는 특화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