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봉침 여목사’관련 의혹을 제기해 전주시 공무원들로 부터 명예훼손 등으로 고발당한 공지영 작가가 3일 전주시청을 찾아 공식 사과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하지 않은 채 봉침사건 논란을 부른 사회복지시설 천사미소주간보호센터에 대한 전주시의 과다한 예산지원과 시설취소 과정에서의 비호 의혹 등을 또다시 제기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측은 공 작가 등의 민원 제기후 실시된 시설취소 진행과정 등을 설명하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공 작가는 이날 오전 10시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주시 등이 이 사건을 축소했다고 믿고 SNS에 글을 올렸는데, 전주시의 명예를 훼손한데 대해 공식 사과한다”고 말했다.
그는 SNS에 전주시라는 도시 전체를 비하한 것으로 비쳐질 수 있는 표현을 한 것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그러나 공 작가는 “(2016년 4월 김승수 시장에게) 후원금 모금 등의 사기 행각의 중심에 센터가 있음을 알렸지만, 전주시는 시설 취소를 지연했고 오히려 예산을 전년보다 두 배 가까이 더 지원했다”며 천사미소주간보호센터와 전주시 사이의 유착 의혹은 계속 제기했다.
그는 지난 2012년 센터 설립 당시의 서류상 문제는 김 시장이 아닌 전임 시장때 이뤄진 일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런 사정까지 제가 어떻게 알겠느냐”고 반문했다.
봉침 논란에 대해서는 “김 시장이 봉침을 맞았다고 발언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밝혔다.
전주시는 공 작가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김인기 생활복지과장은 “2016년 4월19일 공 작가가 시설장 경력 부족과 경력증명서 위조 등 12가지 문제 제기를 해 5월부터 조사를 시작했다”며 그간의 경위를 설명했다.
김 과장은 “현지 조사와 복지부와 법제처에 여러 차례 질의를 하고 고문변호사 자문 등을 거친 끝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지난해 10월27일 직권취소 결정을 한 것”이라며 “ ‘전주시가 아무 일도 안했다’는 공 작가의 주장은 수긍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전주시는 예산지원 증액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국비 40%, 도비 20%, 시비 40% 지원(2013년)에서 도비 20%, 시비 80% 지원(2015년)으로 전환되고, 복지부가 시설 종사자의 인건비를 연봉제에서 호봉제로 전환하면서 기본급과 제수당 등이 상승한 때문이라며 전주시가 자의적으로 예산을 증액한 것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한편 백순기 복지환경국장과 김 과장은 지난달 29일 공 작가를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명예훼손)’혐의로 전주지검에 고발했다.
두 사람은 고발장에서 “공 작가는 자신의 SNS나 언론인터뷰를 통해 전주시가 여성 목사가 운영하는 복지시설에 대해 특혜를 제공했다는 허위사실을 적시, 전주시의 명예를 훼손해 고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