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내버스 '잦은 결행' 사주가족 충전소 이용탓?

결행 민원 2016년 287건서 2017년 524건으로 증가
노조 “사주 구속해야 ”…전주시 ‘관리 허술’ 지적도

▲ 민주노총 버스지부와 전주시민회가 11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버스 사업주가 사주 가족 명의의 충전소만 이용하게 하면서 시내버스 결행이 발생했다”며 사주의 구속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박형민 기자
▲ 그동안 제일여객이 단일 충전소 이용을 해왔다는 증거로 기사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 사진제공=제일여객 노조

전주 시내버스 회사 한 곳이 1년 가까이 버스 기사들에게 회사가 지정한 가스충전소만 이용하도록 요구하면서 결행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시민불편이 이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시내버스 회사가 보유한 시내버스는 전주지역 전체 시내버스 대수의 1/4을 넘는다.

사정이 이런데도 전주시는 이 같은 사실을 뒤늦게 인지하는 등 해당 버스업체에 대한 관리감독이 허술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북지역버스지부와 전주시민회는 11일 오전 전주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검찰은 수사 중인 제일여객과 성진여객의 사주를 구속 수사하고, 전주시는 시내버스 면허를 즉각 환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특히 “회사의 요구로 버스 기사들이 사주 가족 명의의 CNG 충전소만 이용하다보니 제일여객 시내버스 90여 대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4월까지 1년 이상 결행해야 했다”며 “이로 인해 하루 20~30대의 시내버스가 1년간 결행한 횟수가 1000여 차례를 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존에 이용하던 다른 충전소들에 대한 요금미납이 이뤄지면서 사주 가족이 운영하는 충전소만 이용해야했고 버스들이 이곳을 이용하기 위해 되돌아가는 경우가 빈번해 결행으로까지 이어졌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회사 측이 요금 미납때문에 다른 충전소를 이용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제일여객의 연간 가스 요금이 30억원 정도 된다. 요금 미납액이 7200만원에 불과해 사실상 사주가 운용하는 충전소에 이익을 주기 위해 다른 충전소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실제 지난해 시내버스 결행과 관련된 민원이 524건으로 전년도 287건에서 2배 가까이 늘어난 것도 이같은 특정 충전소 이용에 따른 것이라는 의혹을 주고 있다.

검찰은 이들 두 회사의 임금체불과 500억원대 허위채권설정에 대한 수사를 벌이고 있으며, 지난 5일 두 회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전주시 관계자는 “최근에서야 충전소 1곳 이용 문제를 인식했으며, 조사 등을 거쳐 과태료 부과 등 엄정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향후 가스충전으로 인한 결행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