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민 10명 중 4명은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대안으로 친환경 자동차 생산기지구축을 꼽았다. 한국지엠의 군산공장 재가동을 바라는 도민도 20% 수준이다.
전북일보와 KBS전주방송총국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전북도민 7000명을 대상으로 지역현안과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이다.
도민들은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폐쇄된다면 가장 바람직한 대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37.6%가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생산기지화’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자동차산업 이외 대체산업 육성’(20.1%)과 ‘정부의 GM 지원을 통한 군산공장 재가동’(20.1%)을 꼽았으며, 응답자의 11.7%는 ‘국내외 완성차 업체에 매각’을 들었다. 전북도가 군산경제를 회생시킬 대책으로 정부 지원을 전제로 한 ‘전기상용차 중심의 자율주행 글로벌 전진기지’ 육성을 내세운 부분이 도민들의 인식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현 정부에 대한 높은 신뢰가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결정에 따른 정부의 대응에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66.9%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대체로 잘하고 있다’가 47.6%, ‘매우 잘하고 있다’는 19.3%였다. 문재인 정부의 높은 국정운영지지도와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직후 적극 대응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23.6%였다. 군산공장 폐쇄로 직격탄을 맞은 군산(26.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여파로 인한 인구유출, 요식업 폐업,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야당지지자들에게서 부정적인 응답이 많이 나온 점도 주목할 요소다. 자유한국당 지지자는 44.5%, 바른미래당 지지자는 42.6%, 민주평화당 지지자는 32.6%로 나타났다.
‘전북 발전을 위해 우선 추진해야 할 과제(복수응답)’로는 ‘지역 일자리 창출’(75.7%)과 ‘지역 맞춤형 복지 추진’(42.3%)이 많았다. ‘교육, 문화 여건 개선’(33.2%), ‘교통, 통신 산업시설 등 사회기반 확충’(26.9%)도 중요하게 생각했다.
특히 ‘지역 일자리 창출’은 군산에서 80.3%로 가장 높게 나왔는데, 군산시의 고용지표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군산시의 2017년 하반기(7월~12월) 고용률(15세 이상 생산가능 인구 중 취업자 비율)은 52.6%로 나타나 154개 시·군 가운데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올 상반기에만 실업자 수가 1만 여명 정도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역 맞춤형 복지 추진’에 대해서는 진안(46.9%)과 장수(40.6%), 임실(46.2%), 순창(50.4%), 고창(47.5%)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노인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복지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 현상과 관련이 있어보인다. 진안과, 장수, 임실, 순창, 고창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