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의 외로운 섬’, ‘전주의 마지막 남은 노른자위 땅’ 등으로 불려온 전주 서부신시가지내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개발이 더욱 힘을 받게 될 전망이다.
김승수 전주시장 예비후보가 후보 등록 이전인 지난 3월 공론화위원회를 통한 대한방직 부지 개발 입장을 밝힌 데 이어, 그동안 대한방직 부지 문제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송하진 도지사도 개발과 관련해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송하진 지사는 지난 11일 열린 6·13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전북도지사 경선후보 TV 토론회에서 대한방직 부지 개발과 관련 ‘도유지도 포함된 곳인데 전라북도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동안) 대한방직 부지 현장을 방문하면서 나름 해법을 고민했다”며 “부지의 성격에 따라 개발방식이 달라져야 하며 무엇보다 도민, 시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우선이다”고 밝혔다.
송 지사는 이어 “첨단산업단지, 마이스산업과 관련한 컨벤션센터, 자연치유힐링단지 등의 대안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며 “부지의 성격에 따라 개발방식이 달라져야 하는 만큼 도민 의견을 수렴한 뒤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사실상 대한방직 부지 개발의 길을 열어놓은 것으로 해석된다.
김춘진 예비후보도 “이 부지를 ICT(정보통신기술)와 결합된 청년창업부지로 만들어 실리콘밸리처럼 조성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방직 부지 개발에는 전북도의 입장이 중요하다. 전체 부지(22만6500여 ㎡) 중 2필지(6200㎡)는 전북도 소유로 이곳을 빼놓고 개발을 추진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전주시가 시가화예정지인 이곳을 주거용지나 상업용지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2025년 전주도시기본계획’이 변경돼야 하는데 이 계획에 대한 변경 심의는 전북도가 한다.
앞서 김승수 예비후보는 지난 3월 전주시의회 시정질문 답변에서 “대한방직 부지는 전주와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활용돼야 한다”며 더 이상 방치하지 않고 활용 또는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처음 밝힌 바 있다.
김 예비후보는 당시 “대한방직 부지 활용 방향은 먼저 전북도와의 협의와 방직 이전, 근로자 일자리 문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었다.
도지사와 전주시장 후보자들이 대한방직 부지 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내놓으면서 부지개발은 보다 더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한편 전북도는 대한방직 전주공장이 지난해 10월 (주)자광에 매각이 이뤄지기 전인 지난해 7월 ‘전주시의 재정비 요인이 없다’며 도시기본계획 재정비안을 한 차례 부결시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