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에 출마한 군산지역의 기초단체장 후보들이 한자리에 모여 ‘매니페스토(manifesto)’ 실천과 함께 ‘공명선거’를 다짐했다.
지난 26일 시민정책연대(상임대표 황진) 주관으로 청소년자치연구소에서 개최된 서약식에는 공천이 확정된 더불어민주당 강임준 후보를 비롯해 바른미래당 진희완 예비후보, 민주평화당 김귀동·박종서 예비후보, 무소속 서동석 후보와 시민 8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각 정당 후보들은 시민정책연대의 정책 제안 및 매니페스토 실천 서약서에 서명하고 시민들에게 이의 실천을 약속했다.
이번 서약식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다양한 정책을 발굴하고 이를 지자체장 후보들에게 제안, 지역의 변화를 이루고자 추진됐다.
이를 위해 1109명의 시민과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3월까지 지역민들의 의견을 취합, 지자체장이 실천가능한 14개 분과 128개 정책을 도출했고 이를 후보자들에 제시했다.
시민정책연대가 제시한 각 분야별 정책은 △농업예산을 8%에서 10%로 상향하는 ‘농업농민 정책’△군산항의 옛 명성과 수산업 부흥을 위한 ‘어촌수산 정책 △행정의 ‘공개’를 통해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행정법무 정책’△다양한 연령층 및 전문가 참여로 신인 지역 문화예술가 생성 조성이 가능한 ‘문화예술 정책’△청소년의 실질적인 참여를 담보로 하는 ‘청소년·교육 정책’△여성 친화도시와 여성이 일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을 위한 ‘여성정책’△사회복지 예산 증액과 복지예산의 정상화를 요구하는 ‘사회복지 정책’이다.
또한 △새만금 갯벌과 금강하구의 해양생태계 등 자연과 지역경제의 밀접한 작용에 대해 알아보는 ‘환경 정책’△미래도시계획에 시민의 참여가 가능한 ‘도시·관광·디자인 정책’△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경제적 자립을 위한 ‘민생주거 정책’△지역 내 인적·물적 자원을 제고하고 지역공동체 삶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경제정책’△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안전정책’△노동자 중심의 일자리를 만들고 노동의 가치를 인정 받을 수 있는 ‘노동정책’△적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를 위한 ‘적폐근절 정책’을 골자로 하고 있다.
황진 상임대표와 문정숙 공동대표는 “이번 정책들과 시민의 목소리를 시정 활동에 반영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지자체장의 몫”이라며 “이 자리에서 약속한 서약과 정책을 반드시 지켜줄 것은 물론 남은 선거 기간동안의 공명선거 실천”을 당부했다.
한편 매니페스토는 후보자가 선거 공약의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문서화해 공표하고 이를 유권자에게 약속하는 정책서약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