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정상회담 직후 연 공동회견에서 “(북미정상회담) 장소와 관해서는 두 개 나라까지 줄었다”고 밝히자 최종 회담 장소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이에 더해 문 대통령도 28일 밤 트럼프 대통령과 가진 전화통화에서 북미정상회담 장소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역사적 대좌 장소의 최종 낙착에 세계의 시선이 집중되는 양상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9일 기자들을 만나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하면서 북미회담 2~3곳의 후보지를 놓고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이나 북한은 현재 거론되는 후보 지역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도 후보지를 추천했나’라는 질문에 “대통령이 먼저 말씀하신 부분도 있다”고 답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국내에서 북미회담 장소를 물색해 제안했으리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번 비핵화 논의에서 문 대통령이 ‘중재자’ 역할을 하는 상황에서, 북미 대화도 국내에서 벌어진다면 상징적 의미가 한층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이번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판문점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달 “정전협정 당사자인 북한과 미국의 정상이 판문점에서 회담한다면 이는 분단의 상징을 평화의 상징으로 바꾸는 엄청난 의미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북미 양측의 조율 과정에서 판문점이 제외됐다는 얘기도 흘러나온 상태이나 27일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로 기류가 다시 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여전하다.
판문점 외에는 제주도가 후보지가 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다만, ‘한국도 후보에 포함되느냐’, ‘우리 정부는 판문점이나 제주도를 선호하는 것인가’ 같은 질문에 “아무리 물어봐도 답할 수 없다”고만 말했다.
제3의 장소로는 스위스 제네바, 스웨덴 스톡홀름, 싱가포르, 몽골, 괌 등이 거론된다. 이 가운데서도 미국은 싱가포르를, 북한은 몽골을 선호하는 것으로 외신들은 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