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는 3월 중소기업 1650개사를 대상으로 ‘2019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중소기업 의견조사’를 한 결과 ‘작년 대비 올해 최저임금 인상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73.9%로 조사됐다고 2일 밝혔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78.5%)이 제조업(70.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매출 규모가 영세할수록 어렵다는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올해 최저임금 수준은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이 ‘높은 수준’(70.6%)이라고 답했다2019년 적용 최저임금액의 적정 인상 수준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48.2%가 ‘동결’을 원했다. 이런 비율은 지난해 동결을 원하던 수준(36.3%)보다 많이 높은 것이다.
이어 ‘3% 이내’(19.1%), ‘3~5% 이내’(18.4%), ‘5~8% 이내’(8.8%), ‘8~10% 이내’(3.5%) 순으로 나타나 85.7%가 ‘동결을 포함해 5% 이내 인상’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43.5%)보다 서비스업(54.1%)이 더 많이 ‘동결’을 원했고, 매출액 규모는 영세할수록 ‘동결’을 원하는 비중이 높았다.
‘2020년 최저임금 1만원’을 위해 올해도 15% 이상 인상될 것이라는 우려 속에서내년도 최저임금이 15% 인상된다면 10곳 중 8곳은 전체 인건비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응답했다.
이미 올해 최저임금 인상이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않는 다른 근로자들의 인건비 상승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전체의 66.6%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