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남원의료원지부는 17일 성명을 통해 “기획재정부는 비용이 절감되는 공공의료대학원(의학전문대학원)을 주장하고 있다”며 “단순하게 비용만을 앞세워 공적인 국민의 건강권을 외면해서는 안 되며, 공공의료를 위한 첫 출발인 만큼 전문대학원이 아닌 공공의료대학 설립이 중요한만큼 반드시 공공의료대학으로 설립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2년을 지방의료원에서 수련하고 본과 4년을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수련하게 한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는데 이는 대학 설립과 부속병원을 달리하겠다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대부분의 대학과 부속병원이 함께 위치하고 있으며, 남원에 설립되는 공공의대와 부속 병원 또한 남원의료원으로 지정하고 수련 또한 전 과정이 남원의료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남원 공공의대의 설립 위치로 폐교된 서남대부지와 신생마을, KT&G, 남원의료원부지등이 거론 되고 있는데 추후 남원의 의료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당연히 남원의료원부지와 KT&G부지를 활용해야하고 추후 공공의료대학의 확장성을 위해서도 남원의료원 부근으로 선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원의료원지부는 “월평균 남원의료원 응급이송환자는 월평균 50여건이상이며, 비응급환자와 서남권역 이송환자까지 포함한다면 100여건 이상의 환자를 후송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응급환자들의)전주, 광주로 후송은 그만해야 하며, 환자의 생명을 이송하는 길거리에 내버려둬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