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해 취약한 보리, 수확량 위해 물 빠짐 등 철저히"

김제시 농기센터 당부

김제시는 보리의 경우 밀 등 다른 맥종에 비해 습해에 약하므로 배수구를 잘 정비해 물을 빼주고, 논 포장 배수가 불량한 곳은 양쪽에 보머리를 터서 수확 시 수확감소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 줄 것을 농가들에게 당부했다.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습해를 입어 황화현상이 발생한 포장은 요소 1∼2%액(물 20ℓ에 요소 200∼400g)을 10a당 100ℓ씩 2∼3회 엽면 시비 하여 생육을 촉진시켜야 한다.

또한 출수기 이후 지속된 강우와 질소질 비료의 과다한 사용 및 도복 후 습도가 많을 경우 붉은곰팡이병이 주로 이삭에 발생 하고, 병든 이삭은 연갈색으로 생기다가 분홍색 곰팡이가 생기며(분생포자), 갈색으로 변할 수 있다.

관계자는 “물 빠짐이 좋지 않은 포장은 배수로 등을 잘 관리 하여 습도를 낮추고 수확 후 건조·관리를 철저히 해 저장 중 발병을 억제해야 한다”면서 “붉은 곰팡이병 방제 방법은 출수기에 캡탄수화제 및 디페노코나졸, 프로피코나졸유제 등으로 1차 방제를 실시한 후 10일 후 약제를 처리해 수확 하는 마지막 날 까지 수량 감소를 위한 습해관리 및 방제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