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신을 갖고 옥석 가려보자

▲ 김효종 제2사회부 기자·무주

 “심증은 있으나 물증이 없다!”

어린 시절 심취했던 TV 드라마 ‘수사반장’에서의 단골멘트로 기억되지만 무주지역 선거판을 두고 여과 없이 쏟아지는 말 중 하나다.

무주의 그럴싸한 식당가에는 요즘 단체손님이 부쩍 늘었다. 불경기로 죽을상을 쓰던 업주들의 얼굴에 화색이 도는 걸 보노라면 흐뭇한 맘이 앞서야겠지만 왠지 썩 좋은 기분만은 아니다. 음식과 함께 몇 순배의 술잔이 돌다보면 여지없이 선거 이야기다. 즉석이건 그 후이건 특정후보 지지발언이나 뒷거래(?)까지도 있을 수 있음을 미뤄 짐작해봄직하다. 이런 치졸한 방법으로 유권자들을 우롱하나 싶어 그 씁쓸함을 떨쳐내기란 여간 힘겹지 않다.

지역일꾼을 뽑는 선거가 코앞이다. 역대 선거마다 무주의 유권자들은 인물의 부재를 실감하곤 했다. 고만고만한 인물에 급조된 공약과 정책들로 유권자들의 실망은 더할 바 없이 컸지만 어쩔 수 없었다.

최선이 없다면 최악이나마 피해보자는 맘으로 내 한 표 행사해야 했던 것이 무주 유권자들의 심정인걸 아는지 모르는지.

최악이라도 피해 볼라치면 네거티브 식의 검증도 써먹어 볼만하다. 후보들의 저급한 마타도어가 아니라 이런 방식으로 싸우는 후보를 걸러내는 방법 말이다. 포퓰리즘 식 황당한 공약을 남발하는 후보도 추려내 보자. 지키기도 어려운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해 가며 유권자를 기만하고 현혹하는 자들을 가려낼만한 혜안 정도는 무주군민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가.

더는 우리 동네에 인물이 없다고 한탄도 말자. 지역의 변화는 주민 선택에 달려 있다. 그 선택에 있어 소문에 솔깃하기보다는 ‘소신’에 따라줄 것을 지역의 유권자들에게 조심스레 제안해 본다.

지방선거를 생활정치 선거라 칭하는 이유는 주민들의 먹고사는 문제까지 걸려있기 때문이다. 오늘 이 시간에도 많은 후보들이 자신이 ‘적임자’라고 외쳐댄다. 적임자 평가는 출마자가 아닌 유권자의 몫이다. 민심의 흐름이야 알 수 없겠지만 진짜 옥석을 가려내야 무주의 4년이 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