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증지수 up!

여름철은 같은 기온에서도 공기의 습한 정도에 따라 체감더위가 다르다. 흔히 ‘짜증지수’로 잘 알려진 불쾌지수는 날씨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기온과 습도의 조합으로 나타낸 지수로 1957년 미국의 기후학자 E.C.Thom이 만들어냈다. 우리나라에는 1964년 7월부터 도입된 불쾌지수가 80이상이면 전원이, 75~80미만인 높음에서는 절반가량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고, 68~75미만의 보통에서는 슬슬 불쾌감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오늘은 전국에 구름 많은 가운데,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겠다. 우리지역의 불쾌지수는 둘 중 한사람은 짜증나기 쉬운 날이다. 나의 짜증뿐만 아니라 옆 사람의 짜증도 두루 살피며 긍정적인 마음으로 항상 상대방을 배려하는 하루를 보내보자. /맹소영 날씨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