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전주시대 흔들기와 금융타운 조성 관련 현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위원회나 기구의 설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땜질식 처방과 대응이 아닌 정부-정치권-지자체를 아우를 수 있는 상설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금운용본부 전주 안착과 함께 제3금융 중심지 조성은 전북도민의 열망이지만, 전북은 정부는 물론 도내 지자체 간 협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 2009년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부산의 경우 부산과 인근의 마산·합천 등 여러 지자체들이 추진단을 꾸리고, 부산·경남 정치권이 여야를 넘어 현안들을 해결하는 데 힘을 모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반면 전북은 기금운용본부 안착에 가장 큰 인프라로 거론되는 KTX혁신역의 경우 김제, 익산 간 소지역주의 대결 양상까지 보이고 있으며. 관련 현안에 대해서 정치권은 대안조차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전북혁신도시 인근지역 정주여건 개선도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금융업계 유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관련 쇼핑시설과 교육여건 등 업계 종사자들이 요구하는 인프라가 갖춰져야 하지만, 도와 도교육청, 전주시 등은 금융타운 관련 이슈 해결을 위한 협력에 있어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LH 이전 실패 후 한 목소리로 기금운용본부를 유치하는 데 힘을 모았던 전북정치권은 되레 기금운용본부 문제를 정쟁의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는 질타를 받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 정치권의 경우 금융 중심지 육성에 힘을 보태기는 커녕 오히려 지역 이기주의를 부추기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전북도민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은 여당은 중앙당 차원에서 기금운용본부 전주이전 흔들기에 대해 일언반구도 하지 않고 있어 실망감을 더하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연기금특화 금융 중심지로서 전북이 자리매김하려면 지금의 조직체계로는 부족하다”며 “여러 주체가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금융 중심지 조성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되는 연기금전문대학원 설치와 기금운용본부 안착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교통인프라 확충과 혁신도시 입주민 애로사항 해결도 요구된다.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을 활용해 금융 중심지로 부상한 부산은 전주가 벤치마킹해야 할 도시로 꼽힌다. 부산의 경우 부산을 국제금융 중심지로 키우기 위해 부산국제금융도시추진센터를 설립하고, 3년 8개월 째 운영하고 있다.
부산국제금융도시추진센터와 부산시는 런던·뉴욕·프랑크푸르트·파리·도쿄 등 전통적 선진 종합국제금융센터는 물론 싱가포르·홍콩·칭다오·카사블랑카 등 국가주도형 특화신흥금융도시와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부산은 각 금융도시의 모범경영방식을 공유하며 자신들에게 맞는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매년 해외 IR(자본시장에서 정당한 평가를 얻기 위하여 주식 및 사채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홍보활동)을 추진하며 70여개 기관에 부산을 홍보하고 13개 관련 기관과 MOU를 체결했다. 지난 2014년 부산이 세계금융센터지수(GFCI)에 27위로 진입한 것도 이 같은 노력에서 비롯된 결과다. <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