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주요현안에 대한 타 자치단체의 딴죽걸기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 새만금국제공항 건설 추진과 관련, 충남·북과 광주·전남이 견제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전북혁신도시 제3금융중심지 지정과 관련 부산상의가 반대하고 나섰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대체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자율상용차산업 육성과 관련해서도 여러 자치단체가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며 전북을 제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현안은 전북의 미래 성장동력 마련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들로 시급히 해법이 마련돼야 한다. 도민들도 전북도와 정치권이 똘똘 뭉쳐 전북 현안을 해결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지역이기주의로 발목이 잡히고 있는 전북현안을 둘러싼 과제와 대안 등을 모색해본다.
전북혁신도시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의 전북혁신도시 이전 때부터 논의하고 추진된 것이다.
전북도는 2014년부터 기금운용본부와 농생명 관련기관이 집적된 혁신도시 특성을 살려 연기금과 농생명을 특화한 제3의 금융중심지 조성을 추진했다. 같은 해 10월 ‘전라북도 특화 금융산업 발전방안’ 용역을 실시하고, 이듬해 9월 ‘전라북도 금융산업 육성 로드맵’을 발표했다. 10월에는 ‘전라북도 금융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 이후 전북금융타운 조성을 위한 종합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하는 등 전북혁신도시를 금융 특화지역으로 육성하기 위한 준비를 해왔다.
전북도는 혁신도시가 제3금융중심지로 지정되면 연기금과 농생명 관련 금융기관이 집적화되고, 이를 계기로 전북의 새로운 성장산업이 마련될 수 있다는 기대를 걸고 있다.
전북혁신도시 내 금융 인프라 확대를 위해 금융센터(플러스센터 포함)와 MICE시설, 숙박시설 등을 포함하는 금융타운을 조성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금융위원회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금융중심지 추가지정 검토 용역이 마무리되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최종 지정여부는 내년 11월께나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북혁신도시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자 현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도 포함돼 있다. 문 대통령은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서울(여의도, 종합금융중심지)과 부산(문현, 해양·선박 특화 금융중심지)에 이어 전북을 연기금·농생명 특화 금융중심지로 지정하겠다고 약속했다.
전북 도민들도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위기에 처한 전북경제를 살리고, 미래를 이끌 성장산업으로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기금운용본부 전북이전 후 지속됐던 일부 언론의 ‘전주이전리스크’ 왜곡 보도에 이어 미국 유력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비하, 여기에 부산상공회의소까지 가세해 전북흔들기에 나섰다.
국내외 언론은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기금운용본부를 ‘논두렁 본부’, ‘돼지의 이웃’으로 폄하하며, 사실상 전주이전이 잘못된 것처럼 지적하고 있다. 부산상의도 제3금융중심지 지정 추진이 금융산업 특성을 외면한 정치적 행동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언론과 부산상의의 이러한 행태야 말로 자신들의 이익만 좇는 악의적이고 정치적인 행동이라는 지적이 거세다. 특히 부산상의의 성명은 공공기관 추가 이전을 앞두고 주도권을 잡으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보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균형발전 차원에서 조성된 전북혁신도시가 안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오래전부터 추진돼 왔던 사안”이라며, “전북도도 온 힘을 다해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