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서울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에서 장애인이 리프트를 타고 가다가 떨어져 숨지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그때부터 장애인 이동권 보장 운동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오늘, 휠체어를 탄 장애인도 고속버스를 탈 수 있는 날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내년부터 도입된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와 국토교통부는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정책을 발표하고 휠체어에 의지한 장애인도 이용할 수 있는 고속버스 시승식을 개최했다.
시승식에서는 연세대 작업치료학과 김종배 교수가 김 차관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를 탄 채 고속버스에 올라탔다. 리프트 위에 휠체어를 올려놓고 버스 안에서 자리를 잡고 고정벨트와 안전벨트를 매는 데 3∼5분이 걸렸다.
김 교수 다음으로 고속버스를 시승해본 배영준(21) 씨는 “좌석 간격이 너무 좁다”며 “휠체어를 돌릴 수 있을 정도로 앞뒤로 공간을 더 확보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아쉽게도 특수개발된 이 고속버스에 스쿠터형 휠체어는 탑승할 수 없다.
버스 개발에 참여한 신한대 기계자동차융합공학과 이용우 교수는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다 보니 일반 휠체어만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장기적으로 스쿠터형 휠체어도 버스에 탈 수 있도록 개발해 보겠다”고 말했다.
이날 정부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정책’에는 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는 특별교통수단의 법정대수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농어촌버스와 마을버스 등 중형 저상버스 재정지원 방안을 마련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또 정부가 교통정책을 세울 때 국가교통위원회 정책심의 결정 과정에 장애인 등 교통약자 대표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국토교통부와 전장연은 민관협의체를 운영해 향후 개선과제를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