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웠던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덧 찬바람이 부는 가을이 다가왔다. 상쾌한 가을만큼 우리를 즐겁게 해주는 행사가 지역에 많이 열리고 있는데 바로 지역 축제이다. 10월에만 십여 개의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축제를 통해 평소 느끼지 못한 지역의 문화를 접할 수 있고 다양한 먹거리와 체험거리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 축제를 보면서 마냥 즐거워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축제는 지역민들이 즐거워하고 지역민들이 자랑스러운 자발적 참여 행사다. 그러나 우리 축제는 지역민들이 소외되고 외지 관광객들만 겨냥하는 이벤트 식 축제가 대부분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축제평가 등급제도가 폐지되는 지금 우리 축제를 등급별 평가에 의한 짜 맞추기 식 축제가 아닌 지역의 특색을 살리고 지역 주민과 같이 상생하는 축제가 되어야 한다. 지역 축제는 지역민들이 주인이 되어야 한다.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축제가 되어야 하는데 우리 축제는 지역민이 아닌 방문객을 위한 축제가 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지역민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열리는 축제에 무관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주민참여는 단기간에 이뤄질 수 없다. 축제를 준비하는 단계부터 프로그램을 주민들과 상의하고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가야 한다. 축제 아카데미나 포럼 또는 지역 단체와 연계하여 축제를 이해시키고 그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줘야 한다. 현재는 관주도형 축제다 보니 공무원들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한계를 느껴 대행사 등을 통해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대행사 축제의 한계점이 많이 들어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킬러 컨텐츠의 부재이다. 축제는 여러 가지 백화점식 프로그램을 나열하는 축제가 아닌 하나를 보더라도 그 축제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존재해야한다. 세계의 유수한 축제들은 각자 독특한 컨텐츠가 있다. 다른 축제에서는 모방하기 힘든 그들만의 킬러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데 우리 축제는 역사가 짧다보니 그런 독특한 컨텐츠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축제마다 비슷하고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아닌 하나를 보더라도 그 축제를 대표할 수 있는 흥미롭고 독특한 킬러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바로 지역 축제에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그들만의 문화를 입혀야 한다. 우리 전북 지역은 지역마다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문화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즉 각자의 특별한 테마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어느 축제를 가더라도 비슷한 프로그램과 체험거리가 있어 그 축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그 지역에서만 체험 할 수 있는 지역문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축제 일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우리나라 대부분 축제가 5월이나 10월에 밀집되어 있으며 우리 지역도 예외가 아니다. 대부분 메이저 축제들이 한시기에 모여 있다 보니 시간적인 한계에 많이 부딪치고 있다. 지역끼리 서로 상생하며 축제를 꾸려가기 위해선 시간적인 분배를 지자체끼리 서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날씨와 일정에 의해 찾아가는 축제가 아닌 그 축제를 참가하고 싶어 하는 축제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우리 축제는 우리가 사랑하고 우리가 지켜야 한다. 도민이 즐거워하고 자랑스러워하는 전라북도 축제가 되길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