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플랜 활성화 위해 지역단위 조직 구축해야"

전북연구원, 지속가능한 지역단위 푸드플랜 구축전략 등 모색

지방자치단체가 민간영역과 협력해 시장을 통해 거래하기 어려운 식품의 조달과 공급을 계획적으로 관리하는 ‘푸드플랜’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위의 조직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농장과 농협지역종합센터, 마을기업, 시민단체 등이 연합해 생산과 가공, 접근성, 폐기물관리, 소비까지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연구원(원장 김선기)이 2일 컨퍼런스홀에서 ‘먹거리 전략과 지역 푸드플랜’을 주제로 개최한 1차 ‘지역혁신 릴레이 세미나’에서 박영범 지역농업네트워크협동조합연합회장은 “농장의 생산단계부터 먹거리 폐기까지 지역 중심으로 협동할 수 있는 순환고리를 만들어야 한다”며 “지역 농산물을 생산·판매하는 로컬푸드 매장과 가공을 담당하는 마을단위 소규모 기업, 푸드통합지원센터를 통한 공공기관 급식 공급 등이 조직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연합회장은 세부과제로 소비조직화를 통한 로컬푸드 확대, 환경보전과 생태농업 확대, 사회적경제 연대와 일자리 창출, 도시지역 먹거리 정책 확산 등을 제시하면서 “지역순환형 생산·소비체계가 구축되면 먹거리 취약계층도 구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삼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정책과장은 9개 선도자치단체를 선정해 추진하고 있는 푸드플랜 지원현황을 설명했다. 이 과장은 “완주군, 강원 춘천시, 경북 상주시, 전남 나주시, 충남도, 충남 청양군, 전남 해남군, 서울 서대문구, 대전 유성구 등 9개 자치단체를 선정해 올 7월부터 푸드플랜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있다”며 “이들의 성과를 바탕으로 다른 자치단체로 확산할 방침이다”고 설명했다.

송해안 전주대 교수가 이끈 토론회에는 김보금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회 소장, 이현민 전 전라북도농어촌종합지원센터 센터장, 김영일 농협중앙회 전북지역본부 부본부장 등이 참여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도 삼락농정위원회와 도의회 농산업경제위원회 후원으로 열렸으며, 관련 분야 연구자와 활동가, 공무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