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 농촌진흥청에서 지난 12일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농해수위 위원들은 여야를 막론하고, ‘농촌진흥청의 근본적인 패러다임 혁신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예산투입에 비해 저조한 R&D(연구개발) 성과와 PLS(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농해수위 위원들은 우리나라 농촌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농진청의 패러다임 혁신을 주문했다. 전북지역구 의원들은 혁신도시 시즌2에 농진청이 앞장서 줄 것을 촉구했으며, 군산출신인 민주평화당 박주현 의원은 “일부 언론이 전북과 우리나라 대표 농정기관 비하한 것은 부당한 폄하라고 생각 한다”며 “논란이 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농진청이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자유한국당 김성찬 의원(경남 창원시진해구)은 “농진청이 농촌현실개선에 기여한 바가 무엇이냐”며 “농진청이 나름 역할을 수행했다고 자부하고 있는 데 반해 피폐한 농촌의 현실은 더욱 악화돼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시을)은 “정권이 바뀌어도 농정을 바뀌지 않고 있는 말에 동의하느냐”며 “최근 5년 간 농가소득을 올렸다거나 농가 삶의 질을 끌어올린 획기적인 기술개발이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연구기술 평가지표부터 혁신적인 변화를 줘야한다”며 “점진적인 변화를 이야기해선 아무것도 바꿀 수 없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 정운천 의원(전주시 을)은 “네덜란드의 사례처럼 농업의 조직화는 물론 기업가정신을 함양 수 있는 대책이 요구 된다”며 “기존 시스템으로는 미래농업을 도모하기 힘들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