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약자의 특별교통수단인 ‘장애인 콜택시’가 효율적으로 운행·관리될 전망이다.
전북도는 장애인 콜택시의 광역이동지원센터를 구축, 오는 11월부터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도내 14개 시·군별로 각각 배차해 운행해온 장애인 콜택시의 운영이 광역이동지원센터로 일원화되는 것이다.
도에 따르면 특별교통수단(장애인 콜택시)은 휠체어 탑승설비 등을 장착한 차량이며, 2005년에 재정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 따라 시장·군수는 1·2급 장애인 200명당 1대 이상 운행하도록 돼 있다.
도내 1·2급 장애인은 2만6700여명으로, 필요한 장애인 콜택시의 법정대수는 134대다. 현재 도내에는 총 145대가 운행하고 있으며, 올해 7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현재 장애인 콜택시의 운영은 전주시의 경우 시설관리공단이 하고 있으며, 나머지 시·군은 장애인단체에 위탁 관리하고 있다.
전북의 장애인 콜택시는 법정대수는 충족하고 있지만 시·군별로 운행되면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장애인 콜택시의 보유대수와 예산 등 시·군별 여건에 따라 이용대상자와 요금, 운영시간, 운영지역, 예약방법 등이 달라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타 시·군으로 이동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이처럼 장애인 콜택시의 운행 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광역이동지원센터를 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도는 14개 시·군의 장애인 콜택시 운영규정을 통일시키기 위해 ‘전라북도 광역이동지원센터 운영조례’를 제정했으며, 서비스 평가방법과 시정정차에 대한 규정도 마련했다.
도 관계자는 “센터가 구축되면 도내 이용대상자는 언제, 어느 곳이든지 통일된 요금 체계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