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천년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새롭게 출발할 새천년을 준비하기 위한 ‘전라도 천년 기념식’이 18일 전주 전라감영 부지 내 특설무대에서 열렸다.
전북도와 광주시·전남도는 전라도 명칭이 처음 사용된 1018년의 역사적 의미를 살리기 위해 10월 18일을 기념일로 정했다.
이날 행사에는 송하진 전북지사와 이용섭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승수 전주시장, 강인규 나주시장을 비롯해 1000여명이 참석했다.
‘천년의 자긍심, 새로운 천년을 향한 웅비!’를 주제로 한 기념식에서 송 지사와 이 시장, 김 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전라도 천년의 의미와 앞으로 다가올 새천년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송 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전라도는 의병활동, 동학농민혁명, 5·18민주화운동 등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결연히 일어나 백성과 나라를 지켰고 새로운 시대정신을 이끌었다”면서 “천년의 자긍심으로 자주적이고 당당한 역사의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융성했던 전라도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천년의 역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지난 천년 동안 전라도는 역사·행정·문화·교통 등 모든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중심지였다”며 “천년 후, 후손들에게 오늘이 자랑스럽고 빛나는 역사가 될 수 있도록 3개 시·도가 손을 맞잡고 풍요로운 번영의 시대를 열어가자”고 말했다.
김 지사도 “호남은 행정구역상 3개의 시·도로 나눠졌지만 역사·문화·지리적으로 한 뿌리이고, 경제적으로도 공동운명체”라며 “전라도 개도 천년인 올해를 ‘호남, 새로운 도약’의 원년으로 삼아, 화합과 상생발전의 기틀을 착실히 다져나가겠다”고 밝혔다.
기념사가 끝난 뒤 전북·광주·전남 3개 시·도지사와 내빈들은 다가올 새천년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적은 쪽지를 타임캡슐에 넣고 봉인했다. 이어 새천년의 문을 여는 두드림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이날 기념식은 120여명이 출연하는 전북도립국악원의 전라도 천년 특별공연으로 마무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