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지역 재투자 평가제도’ 시행을 확정하며, 그간 저조했던 금융기관의 지역투자 활성화에 물꼬가 터졌다. 이 제도는 내년부터 시범적으로 운영된다.
전북은 특히 기금운용본부 이전 영향으로 도내 금융기관 예금액이 높아, 지역 재투자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전북은 그간 금융사에 예금된 지역 자금이 지역에 재투자 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되레 지역 자금이 수도권으로 역 유출되면서 지역경제의 악순환을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지역 자금이 지역으로 다시 도는 게 아닌 금융사에 축적돼왔다.
전북지역 예금 취급기관의 예대 비율은 83.2%다. 여신 비중과 GRDP 비중의 괴리도 -0.5%로 큰 편이다.
지역 재투자가 활발해질 경우 전북은 지난해 2월 이전을 완료한 기금운용본부 효과가 가시화될 조짐이다.
본부가 이전한 첫 달에 발표된 ‘2017년 2월 중 전북지역 금융 동향’을 살펴보면 전북지역 금융기관 수신은 전달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수신금액만도 2조4930억 원을 기록했다.
당시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기금운용본부 이전으로 인한 지방재정교부금의 공금예금 유입은 물론 펀드와 채권 등 다양한 종류의 자금 이동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 8월 말 기준 예금은행 수신 잔액은 29조4382억 원,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이 38조5963억으로 작지 않은 규모다.
전북지역 시중 금융기관의 수신금액이 대폭 증가했다는 것은 금융기관이 실물경제를 지원할 능력이 그만큼 향상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회사가 지역에서 수취한 예금을 지역 실물경제 수요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재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라며 “지역 재투자 제도는 주요 금융회사의 지역 재투자 현황을 주기적으로 평가해 결과를 공개하고, 경영실태평가에 반영하며, 결과에 따라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방침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