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O활성화와 지역 경쟁력

류인평 전주대 관광경영학과 교수

국가와 지역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민간 조직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과거에 대부분 의사 결정과정이 정부와 광역 지자체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그 의사결정 주체가 민간과 기초 지자체로 옮겨져야 한다. 현 정부의 정책 기조 또한 지방 분권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우리 전라북도 또한 민간 조직의 의사 결정구조를 확대하고 그들에게 많은 기회를 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명 DMO(Destination Marketing Organization)으로도 일컫는 민간 의사 조직이 필요한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예전에 지역 특색을 무시한 채 중앙 정부에서 단위 사업을 구상해서 실정에 맞지 않는 지역에 분배 형태로 대부분 예산을 책정했다. 따라서 중앙정부 중심의 대규모 사업은 대부분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고 현재도 수많은 단위 권역 사업들이 시도는 거창하지만 결과는 참담한 실패를 겪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제는 민간단위의 조직들이 그들이 필요한 사업을 제안하고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제안해야 한다. 현재는 민간으로 조직된 각 지역이나 직능 협회 등이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간혹 그들조차도 지역과 민간에 필요한 사업을 구상하고 제한하는 형태가 아닌 그 조직에만 필요한 사업을 독점적으로 차지할 목적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제는 새로운 형태의 민간조직이 필요하다. 즉 민간들이 자발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 각각의 직능을 넘어서는 민간단체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정책에 대해 토론하고 지역 발전을 위해 관련 사항을 점검하고 의사 결정과정에 민간인들이 참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지자체 단위에서 민간 조직을 지원하고 양성해야 한다. 지역의 현안들을 민간 단체와 상의하고 그들이 자발적으로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장을 열어줘야 한다. 지난 5일 조직된 관광문화협의회가 대표적이다. 이는 각각 4개 기초 지자체가 각 지역에 있는 민간단체들과 협의해서 지역의 관광에 대해 토론하고 정책을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체이다. 업계를 비롯해 학계 관계 기관들이 다 모여 우리지역에 관광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발전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단체들이다. 향후 이런 자발적 단체들이 각 분야별로 많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민간단체들이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조하면서 정책을 만들어가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초 지자체들이 그들의 정책을 만들어 중앙정부에 제안하는 시스템이 확립되어야 한다. 그들만이 필요한 사업을 만들어 중앙에 제안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아이템을 그 지역에서 찾아야 한다. 대한민국 테마여행이 대표적인 경우다. 이는 전국의 39개의 시군들이 지역의 사업을 구상해 문화체육관광부에 사업을 제안해서 매년 일정한 예산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는 그들의 실정에 맞는 사업을 구상하고 매년 일정 예산으로 지역 관광을 개발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전라북도는 5개 시군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

오늘날은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생존하기 힘든 시대이다. 지자체간 서로 연계하고 민간들과 협력하고 지역의 장단점을 파악해서 지역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상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민간 조직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고 민간조직들이 자생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도록 각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