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3주 연속 하락한 55%를 기록했다. 경제와 민생 문제가 하락의 주요 이유로 꼽혔다.
한국갤럽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설문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 응답률 14%) 결과 긍정평가가 전주 보다 3%p 하락한 55%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부정평가는 3%p 오른 35%이며, 의견 유보는 10%이다.
긍정평가 이유로는 응답자의 33%가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꼽았고, ‘외교 잘함’(10%), ‘대북·안보 정책’(9%),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8%) 순이었다.
부정평가 이유는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50%), ‘대북 관계·친북 성향’(20%), ‘일자리문제·고용 부족(5%)’, ‘부동산 정책’(3%) 등이 제시됐다.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이 전주 보다 1%p 하락한 42%로 1위를 차지했고, 자유한국당 14%, 정의당 11%, 바른미래당 6%, 민주평화당 1% 순으로 나타났다. 무당층은 27%였다.
국정감사의 성과를 묻는 질문에는 42%가 ‘성과 없었다’고 답했고, ‘성과 있었다’는 응답은 19%였다.
‘성과 없었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형식적·말만 많음·실질적이지 못함’(14%), ‘상대 비방·싸우기만 함’(12%), ‘해결된 것이 없음’(11%) 등을 이유로 꼽았다.
국감에서 가장 큰 활약을 한 의원은 사립유치원 비리공개를 주도한 민주당 박용진 의원(16%)이 1위로 꼽혔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