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 일제수탈에 저항하는 농민운동을 펼친 완주군 삼례읍 구와리 출신 이우성 선생이 제79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앞두고 독립유공자로 추서됐다.
13일 완주군에 따르면 이우성(李愚誠, 1905∼1948) 선생은 삼례공립보통학교(현 삼례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전주도립사범학교(현 전주교대) 특과 2부 과정을 수료하고, 1926년부터 4년간 장수·임피 공립학교 훈도(선생)로 일했다. 교편 생활을 하면서 일제수탈에 저항해 각 리에서 농우회(農友會)를 조직해 농민운동을 펼쳤고, 결국 파면됐지만 저항운동은 멈추지 않았다.
1930년 삼례 소작쟁의 등을 벌였고, 1932년에는 3·1독립만세운동일을 기념하는 3·1 투쟁 준비회에 농민대표로 선출됐지만 그 해 2월 만세운동 준비 도중 일경에 체포 됐다. 석방 후에는 지하독립운동을 활발히 벌였다.
이우성 선생의 이 같은 업적은 후손인 故이민교(전 완주군 기획감사실장, 전 완주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회장) 선생이 정부기록보존소에서 선친의 재판기록을 찾아내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국가보훈처는 제79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앞두고 일제의 국권침탈에 항거해 민족자존의 가치를 높인 이 선생의 독립운동 위업을 기리어 ‘건국헌장 애족장’을 포상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