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전북도가 전북 조선기자재업체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확산산업에 돌입한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으로 불황을 겪는 도내 업체들을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공장으로 육성해 제품기획·설계, 제조·공정과정 등을 개선하려는 취지다. 스마트공장은 ICT기술로 제품의 설계·개발·제조·물류·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연결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영성과를 높이는 생산 공장이다.
도는 이달 스마트공장에 참여하려는 조선기자재업체를 모집한 뒤 다음 달부터 컨설팅에 들어간다고 19일 밝혔다.
대상업체는 군산 국가산단에 있는 조선기자재업체 62곳이며, 이들 중 11개 기업을 선정해 지원할 방침이다.
선정된 업체는 ICT기술을 활용한 생산실적 관리와 제조공정 시스템을 지원받는다. 구체적으로는 업체인원이 수작업으로 하던 생산실적 관리와 품질 관리를 바코드·센서 등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도는 참여업체의 제조공정을 분석한 뒤 수준별로 맞춤형 지원을 할 계획이다.
사업비(국비 35%, 지방비 35%, 민간 30%)는 총 8억1200만원이 투입되며, 업체별로 최대 7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도 관계자는 “제조업에서 스마트공장이 전 세계적으로 대세로 자리잡고 있지만 도내 조선기자재업체는 불황으로 스스로 스마트공장화를 구현하기 힘든 형편이다”며 “도는 정부의 고용·산업위기지역의 우선 지원 방침에 따라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