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덕 광주형 일자리 공모로 대안 찾나

민주당 일부 의원들 광주형일자리 공모제 전환 위한 긴급간담회
김관영 의원, 공모 대비 군산형일자리 위해 도·군산시 대응 필요

‘광주형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논의가 터덕이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전남·광주에서 합의되지 않을 경우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공모해 예산을 투입하는 방안을 논의해 주목된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과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로 전북에 ‘군산형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관련 사업이 공모로 전환될 경우 전북도와 정치권의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민주당 이원욱 제3정책조정위원장은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광주형일자리 공모제 전환을 위한 긴급 좌담회’를 열었다. 이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광주형 일자리가 (예산안 심사 법정 기한인) 닷새 안에 합의되지 않으면 공모제로 전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창원, 거제 등 광주형 일자리에 관심을 보이는 도시를 포함해 공모형으로 전환, 광주형 일자리를 더 성공시키고 새로운 사회적 대타협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후덕 의원도 “광주형 일자리가 광주에서 시작되는 좋은 소식이 이번 주에 꼭 들렸으면 한다”면서도 “타결이 안 된다면 전국을 대상으로 공모해 직장 어린이집, 행복주택, 개방형 체육관 등의 예산을 만들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당내에서는 광주형 일자리 예산을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해 집행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는 분위기지만, 협상이 진행 중인 만큼 공모형 전환에 대해선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바른미래당 김관영 국회의원(군산)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형 일자리사업의 공모가 진행될 것에 대비해 전북도와 군산시가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의원은 이에 앞선 지난 26일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열린 ‘농업의 미래를 위한 간담회’에서도 “문재인 정부가 의욕적으로 시작한 노사상생형 일자리 창출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가 답보 상태다. 전북의 경제회복을 위해 군산형 일자리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