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년 만에 단행한 기준금리 추가인상이 전북경제에 직격탄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말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75%로 0.25%p 인상했다.
타 지역에 비해 경제성장률이 턱 없이 낮은 반면 부채비율은 높은 전북지역의 경우 금리인상 효과보다 부작용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50조원을 훌쩍 넘긴 지역부채는 서민경제의 뇌관으로 꼽힌다.
위기는 자금상환에 한계를 느끼고 있는 가계나 기업, 다중채무자 등을 중심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2일 한국은행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번 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계의 이자부담은 2조5,000억 원 가량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올 3·4분기 변동금리 대출이 70.2%임을 고려할 때 금리 인상분(0.25%포인트)이 그대로 대출금리 인상에 반영된다는 가정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통상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은 대출금리 산정을 기준금리에 더해 가산금리 등을 반영하기 때문에 지역가계 이자 부담은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 전북본부가 최근 밝힌 도내 금융동향을 살펴보면 전북지역 여신 잔액은 기업과 가계를 합쳐 총50조5000억 원 수준이다.
전북은 중소기업과 가계모두 담보력이 높거나 고신용자가 많지 않아 자금상환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전북은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도 많은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도내 일자리의 92.9%를 떠받치고 있는 중소기업의 자금상환에도 비상이 걸렸다. 금융업계는 다중채무자의 ‘부도 전염 효과’를 가장 큰 문제로 지목했다.
여러 금융기관에서 동시에 대출을 받은 대출자의 경우, 한 대출이 부실해지면 다른 권역의 대출도 빠르게 부실화되면서 일종의 도미노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내 금융업계 관계자는 “도내 중소기업 중 3분의 1가량은 적자를 기록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며 “대출이자가 오르면 인건비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고 상환이 불가능하면 최악의 경우 부도를 맞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절반 이상이 제2금융권에 몰려있는 전북지역 가계부채 또한 충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북에서는 자영업자 대출을 포함한 가계 대출 잔액의 절반이상(13조8678억 원)을 제2금융권(비은행예금취급기관)이 차지하고 있다.
전주의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신용도가 낮은 서민일수록 금리가 훨씬 높은 대출상품을 이용하기 때문에 형편이 어려운 사람일수록 이자부담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주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A씨는 “금리가 오른 적 없는 지난 1년 동안에도 자영업자 폐업이 속출했었다”며 “금리가 더 오른 내년은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