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한국전쟁 당시 무참하게 희생된 민간인 유해 발굴에 나선다.
전주시는 1950년 7월과 9월 전주형무소에서 학살된 민간인 유해 발굴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당시 7월 군과 경찰은 좌익 관련자라는 이유로 전주형무소 재소자 1600여명(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추정)을 학살했다.
이어 같은 해 9월 26일부터 이틀간 전주형무소 재소자 500여명도 무참히 살해됐다.
전쟁 직후 이들은 남침한 인민군으로부터 공산주의에 반하는 ‘반동분자’로 분류돼, 형무소에 수감된 상태에서 변을 당했다. 당시 숨진 수감자 중에는 대한민국 건국 초기 지도자급 인사인 손주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과 오기열·류준상·최윤호 국회의원 등이 포함돼 있다.
한국전쟁 전후 벌어진 민간인 학살 매장지로 추정되는 곳은 전국적으로 전주 등 총 59곳이다.
전주시는 유력한 유해 매장지로 황방산과 산정동 일대를 꼽고 있다.
전주시는 내년 1~2월 유해발굴 추진단을 구성한 뒤, 같은 해 8월부터 본격적인 유해 발굴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다만 산정동의 경우 매장지 일부가 도로 공사구간에 포함돼 시행청인 익산국토관리청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게 전주시의 설명이다. 황방산 매장 추정지도 현재 경작지로 활용돼 토지주와의 협의가 필요한 곳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예산상 매장 추정지 2곳을 동시에 발굴하긴 힘들다. 발굴이 용이한 곳부터 할 것”이라며 “발굴된 유해는 무연고자를 위한 세종시 추모의 집에 안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이번 유해 발굴이 한국전쟁 직후 벌어진 민족상잔의 상처를 극복하는 장이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인철 6·25 민간인학살조사연구회 대표는 “민간인 희생자 유해 발굴이 좌파와 우파의 이념대결로 흐르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고인의 넋을 기리는 것은 물론 민족화합의 길로 승화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