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전통미술관 조성, 숨 고르기

당초 타당성 조사 용역과 실시설계 등 10억 원 요구
기재부서 전액 삭감됐다가 국회서 사전용역비 3억 원 확보
사업 명칭도 변경…국립 형태로 운영 기대
덕진권역 뮤지엄 밸리 등 중점사업 6320억 원 편성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인 ‘전주문화특별시 지정’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전주시의 국립 전통미술관 건립 사업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전주시는 2019년도 국가예산 중점사업으로 총 131개 사업에 6320억 원을 확보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비지원 사업과 복지 등 국비 보조금, 교부세 등을 더하면 내년도 전주시 총 국가예산은 1조3657억 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1조1284억 원보다 2373억 원(21.0%) 늘어난 규모다.

특히 내년 하반기 만성동 법조타운으로 이전할 현 법원·검찰청 부지와 함께 전주종합경기장을 아우르는 ‘덕진권역 뮤지엄밸리’의 핵심이 될 다수의 신규사업이 예산을 확보했다.

주요 사업을 보면 △한국문화원형 콘텐츠 체험·전시관 건립(3억 원) △전북중소기업연수원 건립(2억 원) △드론산업 허브지원센터 구축(2억 원) 등이다.

이 중 법원·검찰청 부지에 추진됐던 국립 전통미술관은 사업 명칭이 ‘한국문화원형 콘텐츠 체험·전시관’으로 변경됐다.

당초 전주시는 정부에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과 실시설계 명목으로 10억 원을 요구했지만, 기획재정부 단계에서 전액 삭감됐다.

기재부는 국립 형태로 미술관이 건립될 경우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가 불거진다는 이유를 들었다.

하지만 국회 단계에서 지역구 의원과 김승수 시장의 끈질긴 구애로 내년 예산에 사전용역비(3억 원)가 포함됐다.

이에 따라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이 내년에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구체적인 용역 시기 및 건립 방향은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상당 부분 키를 쥘 것으로 전망된다.

전주시 관계자는 “명칭은 바뀌었지만 국립 형태로 운영된다는 전제 아래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며 “문체부 주도로 용역을 할지, 전주시에 맡길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전주시는 덕진권역 뮤지엄밸리, 미래 먹거리 창출, 생태환경 사업 등 전주형 문화경제를 이끌어 갈 국가예산을 확보했다고 자평했다.

김양원 전주부시장은 “정부의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 및 신규사업 억제 기조에도 불구하고 김광수·정운천·정동영 국회의원, 정세균 전 국회의장 등 정치권과의 긴밀한 공조가 이뤄낸 성과”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