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져야 본전’ 전주시, 국내 1호 트램 공모 참여키로

철도기술연구원의 실증노선 사업에 제안서 내기로
전주 한옥마을 일대를 사업 구간으로 제시
수백억원대 지방비 매칭, 수도권에 유리한 배점표 때문에 고심 끝 결정
“트램에 대한 전주시의 의지와 진정성 보여주기 위한 것”

전주시가 고심 끝에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는 트램(노면전차) 공모에 참여하기로 했다.

전주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무가선 저상트램 실증노선 사업에 제안서를 내기로 결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공모 신청 마감시한인 14일 제안서를 낸다.

시는 복선 1km 이상으로 개설될 트램 구간으로 전주 한옥마을 일대를 꼽았다.

노선이 짧은 만큼 교통수단보다 관광용으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무가선 저상트램은 기존 가선(전차선) 방식과 달리 대용량 배터리를 이용해 무가선 구간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실제 상용화를 목적으로 실증노선을 구축하는 이번 사업은 과제 종료 후 해당 지자체에 사업을 이관해 상용 노선으로 운영된다. 이에 따라 ‘국내 1호 트램’이란 타이틀도 거머쥘 수 있다.

하지만 전주시는 최근까지 공모 참여를 놓고 고심을 거듭했다.

매칭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돼 좋은 배점을 받기 위해서는 최대 400억 원가량의 지방비를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세워야 하며, 노선 유지·관리비 등 천문학적 추가비용을 모두 해당 자치단체가 떠안아야 하는 방식 때문이다.

또 1차 사업자 선정 배점표를 보면 재정자립도, 최근 5년간 트램 관련 사업 추진현황, 도시철도망(전철) 구축계획 등 그동안 트램 사업을 추진하지 않았거나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게는 극히 불리한 평가 기준이다.

이 때문에 트램 공모에 관심을 보였던 전국 23개 지자체 중 경기 화성·부천·안산·시흥·고양, 대구·대전 등 상당수 지자체가 기권을 선언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배점표를 보면 수원과 성남 등 수도권 일부 지자체가 유리한 조건”이라며 “사업자로 선정될 가능성은 낮지만, 트램 도입에 대한 전주시의 진정성과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하기 위해 공모에 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철도기술연구원은 지자체 제안서에 대한 심사를 거쳐 내년 2~3월에 최종 사업자를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