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에코시티 기무부대 부지, 국가 주도 공익시설로”

옛 터 1만5000평 국방부 매각 추진에 난색
신도시 개발로 부지 매입비 300억 추정
국방부에 지역주민 복리향상 위한 시설로 쓸 수 있도록 건의
전주시, 국가 주도 사업이나 지역 환원 등 희망

국방부가 전주 신도시 개발지구인 에코시티 내 옛 기무부대 부지 매각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전주시가 인근 주민들을 위한 공익·국가사업 목적으로 활용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1953년 창설된 전주 기무부대가 70년 가까이 전주 신도시 계획의 걸림돌로 작용한 만큼, 국방부가 대승적 차원에서 해당 부지에 국가 주도로 공익시설을 짓거나 전주시에 환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주시는 최근 국방부에 ‘신도시인 에코시티를 친환경 거주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 기무부대 부지를 지역주민들의 복리향상을 위한 시설로 쓸 수 있도록 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수백억원대의 부지 매입비를 감당할 수 없다는 셈법이다.

시는 신도시 개발로 해당 부지 땅값이 약 3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 19일 국방부는 옛 기무부대가 쓰던 부지 11곳 중 전주와 경기 의정부, 창원, 인천 부평구 등 4곳 부지를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매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중 전주 에코시티 내에 있는 기무부대 부지는 총 3만8000㎡(1만1500여평) 규모다.

전주시 관계자는 “자체 재원만으로는 천정부지로 치솟게 될 부지 매입비를 감당할 수 없다”면서 “국가 주도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공익시설로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인근 주민들도 국방부나 전주시의 기무부대 부지 활용계획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필수 전주 에코시티발전협의회장은 “기무부대가 오랫동안 자리하면서 전주 신도시 구상에 차질을 빚었다”면서 “에코시티 입주민들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공원이나 체육관 등 공익시설로 활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과거 600단위 기무부대는 서울을 포함해 광역 시·도 11곳에 설치한 대령급 지휘 부대였다. 통상 600, 601, 608, 613 부대 등으로 불려 이른바 600단위 기무부대로 불렸다. 이들 부대는 지난 9월 군사안보지원사령부가 창설되면서 폐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