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 우리나라 5G 상용화를 앞두고, 도내 지자체의 선제적 대응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뜻하는 5G는 기가비트급 속도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자동차와 사물인터넷, 스마트 농업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는 내년부터 2023년까지 5년 간 5G 기지국 구축에만 총 7조4813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한국지엠 군산공장 사태를 겪은 전북은‘테스트 베드’로서 입지를 선점해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5G는 전북의 미래경제를 책임질 스마트 팜, 자율주행자동차, 스마트시티, 첨단 금융도시 만드는 데 필요한 원천기술이다.
자율주행자동차는 5G망을 통해 장애물 회피와 경로 변경을 실행한다. 운행과 주차기술 또한 5G 최적화가 관건이다.
농·생명 산업은 5G 기술이 내장된 사물인터넷 장비를 활용한 빅데이터 구축이 핵심이다.
정부와 국회는 내년부터 5G 기지국 투자에 대한 세제혜택을 기존보다 최대 3배까지 늘려 투자액의 3%에 대한 세액공제를 약속했다. 4차 산업혁명 기반시설에 대한 민간 투자를 촉진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특히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의 투자세액 공제율을 더 높이고 지방으로 ‘유턴’하는 대기업에 대한 세금감면 혜택도 늘린다는 원칙을 밝혀 전북지역에 대한 투자심리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미 다른 지역 지자체와 주요 대학은 행동에 나서 테스트베드 구축과 5G 인프라 선점 경쟁에 나서고 있다.
전북이 여기에서 밀린다면 미래 산업육성도 공염불로 끝날 우려가 크다.
경북도는 5G 테스트베드 조성을 위한 국가 투자예산을 확보했으며, 강원도 또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5G 환경이 빠르게 조성되고 있다.
한양대는 LGU+와 5G망을 활용한 자율주행차 실증에 성공했다.
과기부와 통신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팜, 스마트시티, 자율주행관련 산업 등에서 5G 고객 수요가 커질 것”이라며“내년 3월 5G 전용기기 출시를 기점으로 업계 경쟁이 본격화되는 시기가 가장 큰 기회가 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