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군산형 일자리’ 검토한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활용 위해 군산시와 전담기구 구성 논의
기업유치 등 계획 수립 위해 추진기구 필요하다 판단
기업유치 위해 SPC·자동차기업 3∼4곳 접촉 중
실직자 소득보전·협력업체 일감확보 등도 계속 지원

내년에 군산형일자리 추진단이 신설될 전망이다.

전북도는 지난 5월 폐쇄된 한국지엠 군산공장을 활용한 군산형일자리를 실현하기 위해 군산시와 ‘군산형일자리 추진단’ 신설을 논의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나석훈 도 경제산업국장은 “군산형일자리를 실현하고 성공모델로 정착시키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며 “노동자 연봉문제 등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통합형 기구를 만드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나 국장은 “군산형일자리의 핵심은 기업유치다”며 “GM 군산공장을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SPC(특수목적회사)를 포함해 직간접적으로 3~4개의 자동차 관련 업체와 접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군산형일자리 추진단 논의는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가 지난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업무보고에서 광주형 일자리와 같은 노사민정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을 다른 지역으로 확산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내년 1분기까지 관계부처의 협의를 거쳐 휴·폐업공장 재가동, 합작회사 등 다양한 모델을 발굴하고, 인센티브 등 패키지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는 이 같은 산업부의 방침이 군산형일자리 추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내년에 군산공장 폐쇄로 인한 실직자를 대상으로 소득보전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고용위기지역 실업자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구직급여가 내년 1월 종료하는 데 따른 대책이다.

도는 △희망근로 지원 사업의 계속 시행 건의 △군산고용위기종합지원센터 통한 재취업·전직 지원사업 설계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연계 취업취약계층 소득보전 지원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사업 공모 등을 추진한다.

자동차·조선 협력업체의 일감확보를 위해 산업다각화 지원, 다목적 특수차량 개발 등 8개 사업도 계속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의 판로개척·시제품 제작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기업비즈니스센터도 신설해 운영한다.

GM·조선업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한 긴급경영안정자금도 100억원을 별도로 배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도가 이들에게 기존에 대출했던 정책자금 대출도 내년말까지 신청업체에 한해 거치기간을 최대 2년간 연장한다.

나 국장은 “군산지역경제가 하루빨리 안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대책을 펼치겠다”며 “내년 1월부터 고용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중장기 고용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