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기업들이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최대 현안으로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을 꼽았다.
또한 올 한 해 자동차, 조선 등 지역 주력산업의 침체와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등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로 어려움이 컸던 도내 기업들은 내년에도 경기침체의 장기화와 금리인상,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경기 불확실성 확대를 전망했다.
전라북도상공회의소협의회(회장 이선홍)가 최근 도내 127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9년 경영환경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지역 현안으로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32.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조선업, 자동차업 등 주력산업 활성화(27.8%)’, ‘새만금 신항만 규모 확대(11.9%)’, ‘전라선 KTX 증편 및 SRT 운행(9.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또 2019년 우리나라의 경제 흐름에 대해 응답업체의 39.4%가 ‘올해보다 나빠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매우 악화’가 예상된다고 응답한 업체는 5.5%,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40.9%, ‘호전될 것이다’는 14.2%로 대부분의 기업들이 내년도 경제상황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내년도 경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내 리스크로는 ‘최저임금 등 고용·노동환경 변화(41.3%)’와 ‘내수 침체의 장기화(32.0%)’를 꼽은 기업들이 많았으며, 대외 리스크로는 ‘통상분쟁 및 보호무역주의 확산(31.3%)’과 ‘중국경제의 성장세 둔화(21.3%)’ 항목을 많이 꼽았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도내 기업들은 내년에 보수적인 경영을 계획하고 있는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보수적 72.4%, 공격적 27.6%)
구체적으로는 ‘경기의 불확실성 증대(34.2%)’, ‘고용·노동환경의 변화(22.4%)’, ‘기존 시장의 경쟁 과다(19.1%)’ 등을 이유로 들었다.
올해와 비교해 도내 기업들의 신규채용 계획은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43.3%로 가장 높았으며 ‘올해보다 채용인원을 줄이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23.4%로 나타났다.
반면 ‘채용인원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16.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선홍 전북상협 회장은 “침체된 우리 경제의 활력 제고를 위해서는 정책당국의 과감한 내수 활성화 정책과 친기업 정책이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면서 “우리 기업들도 움츠려들기보다는 경기회복에 대비해 기술개발과 인재육성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